
부장판사 역임 · 판사 역임
박춘기 대표변호사
성범죄 / 강제추행
혹시 경찰로부터 “강제추행 피의자 조사 출석요구” 전화를 받으셨나요?
단순한 오해라고 생각되더라도 “가서 설명하면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대응하셨다가는 향후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강제추행은 매우 중대한 성범죄이며, 최근에는 그 구성요건이 과거보다 훨씬 폭넓게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강제추행 혐의를 받게 되었을 때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법적 기준과 행동 가이드를 안내드립니다.
<목차>
강제추행 구성요건 완화 (최신판례)
강제추행 처벌 수위
경찰 조사 주의 사항 3가지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18도13877 전원합의체 판결)
현행법상 강제추행죄 성립 기준
• 형법 제298조: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추행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과거에는 '폭행 또는 협박' 후에 추행이 발생한 강제추행의 경우, 범죄 성립을 위해서는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강력한 '폭행 또는 협박'이 요구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폭행 또는 협박'의 의미는 종래의 입장을 변경하여 다음과 같이 판단하고 있습니다.
📖 판례 요약
✔ 상대방의 신체에 대하여 불법한 유형력을 행사(폭행)하거나,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해악을 고지(협박)하면 ‘폭행 또는 협박’ 인정
✔ 행위 목적과 의도, 구체적 행위태양과 내용, 경위와 정황, 당사자 관계, 피해 고통의 유무 등을 종합 판단
현재 대법원은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협박이 아니어도 처벌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40여 년간 유지되던 기존 판례를 변경한 것으로, 성립 범위가 넓어져 처벌 대상도 확대될 수 있습니다.
강제추행죄는 초범이라도 중대한 처벌이 가능한 범죄입니다.
▶ 기본 형량 (형법 제298조)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
유형 | 관련 법률 | 법정형 |
---|---|---|
일반 강제추행 | 형법 제298조 | 10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 벌금 |
장애인에 대한 강제추행 | 성폭력처벌법 제6조 제3항 | 3년 이상 유기징역 또는 3천만~5천만 원 벌금 |
13세 미만 대상 강제추행 | 성폭력처벌법 제7조 제3항 | 5년 이상 유기징역 |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 성폭력처벌법 제10조 | 3년 이상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 벌금 |
강제추행 혐의는 초범이라도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피해자의 일관되고 신빙성 있는 진술만으로도 수사·기소·유죄로 이어질 수 있어, 변호인의 조력이 중요합니다.
첫 조사에서의 태도와 진술은 사건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 실수는 반드시 피하세요.
준비 없이 임하면 초기 진술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진술거부권·변호인 선임권 등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의 진술은 불리한 정황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변호인과 전략을 먼저 세우세요.
“기억이 잘 안 난다”, “장난이었다” 등은 혐의 인정으로 해석될 위험이 큽니다.
성범죄 사건은 단순 해명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출석 전 변호인과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진술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의 안내>
[법무법인 YK 성범죄센터] 홈페이지
☎ 1:1 실시간 상담 : 1688-1070
📌 핵심 요약 1. 폭행·협박 요건 완화로 처벌 범위 확대 2. 초범도 실형 가능성 3. 경찰조사 전 준비 필수 4. 변호사 조력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