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 민사행정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상대방들의 혼인관계가 이미 사실상 파탄 상태에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A와 배우자 간의 카카오톡 대화, 과거의 부부상담 내역 등 혼인관계의 회복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음을 보여주는 정황증거들을 제출하였습니다. 또한 의뢰인과 A가 같은 직장에서 일하며 업무상 잦은 접촉이 있었고, 실질적인 부정행위 기간이나 횟수가 제한적이었다는 점도 강조하여 주장하였습니다.
재판부는 의뢰인의 부정행위에 책임이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당시 상대방 혼인관계가 이미 실질적으로 파탄 상태였다는 사정을 일부 받아들였고, 의뢰인의 반성과 피해자에 대한 사과 태도 등도 감안하여 위자료 청구금액 중 500만 원을 감액한 판결을 선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