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죄는 그 구성요건이 비교적 추상적이면서도 사회경제적 신뢰를 해치는 대표적인 범죄로 간주되며, 디지털 거래, 가상자산 투자, SNS를 통한 접근 등 비대면 수법의 증가로 인해 최근 더욱 복잡하고 광범위한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또한 피해자 수가 다수이고, 피해 금액이 클 경우 중형이 선고되는 경향이 있으며, 행위자가 반복적으로 사기 범죄를 저질렀거나, 계획적·조직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경우에는 실형 선고 비율도 매우 높습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사기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감경ㆍ기본ㆍ가중요소가 반영된 형량의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 | 구분 | 감경 | 기본 | 가중 |
---|---|---|---|---|
1 | 1억 원 미만 | ~ 1년 | 6월 ~ 1년6월 | 1년 ~ 2년6월 |
2 | 1억 원 이상, | 10월 ~ 2년6월 | 1년 ~ 4년 | 2년6월 ~ 6년 |
3 | 5억 원 이상, | 1년6월 ~ 4년 | 3년 ~ 6년 | 4년 ~ 8년 |
4 | 50억 원 이상, | 3년 ~ 6년 | 5년 ~ 9년 | 6년 ~ 11년 |
5 | 300억 원 이상 | 5년 ~ 9년 | 6년 ~ 11년 | 8년 ~ 17년 |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형사센터는 사기죄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