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 / 국제조세
국제조세
국제조세는 국경을 넘는 거래, 투자, 소득에 대해 과세권을 조정하고, 조세회피 방지 및 이중과세 해소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조세 제도 영역으로, 주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법인세법」, 「소득세법」등을 근거로 규율됩니다. 국내 거주자 또는 내국법인이 해외 소득을 얻거나, 외국법인이 국내에서 사업활동을 할 경우 적용되는 세법 해석과 과세 체계를 총칭합니다. 실무에서는 다국적 기업이나 해외 자산 보유자 등을 대상으로 한 이전가격 과세,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 해외 현지법인에 대한 과세이슈, 조세조약상 비과세 또는 감면 요건 등이 자주 문제됩니다. 또한 과세당국은 이러한 거래를 통해 세원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무조사, 정보교환, 역외조사 등을 강화하고 있으며, 기업 및 고액자산가는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특히 이전가격 세제는 다국적 기업 간 내부거래가 정상가격에 따라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며, 정상가격 산정방식의 선택, 비교가능성 확보, TP문서 작성 여부 등이 핵심 쟁점이 됩니다. 신고 누락이나 정당한 이유 없는 문서 미제출 시에는 과세는 물론 고액 가산세 부과 및 명단공개 제재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조세는 세법 해석뿐 아니라 경제적 실질과 회계구조, 조세조약 해석 및 국제 기준(BEPS, OECD 지침 등)에 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하는 복잡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실무 대응 시에는 조세 전문 변호사뿐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와의 협업을 통한 다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